환경

건강영향평가(HIA)

박하D 2023. 4. 4. 12:39

1. 개념

건강영향평가(HEALTH IMPACT ASSESSMENT)는 정책(POLICY), 계획(PLAN), 프로그램(PROGRAM) 및 프로젝트(PROJECT)(이하 '4P'라 함)가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그 분포를 파악하는 도구, 절차, 방법 또는 그 조합" 이라고 정의한다.

 

2. 목적

HIA는 의사결정권자 건강과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 등과의 관련성을 인지하도록 하여 정책결정의 과정에서 ' 건강'에 대하여 항상고려하게 함으로서, 향후에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건강의 결과들이 적절한 의사결정을 돕는데 있다.

 

3. 주요 내용

3-1. 단계 및 절차

1) 스크리닝(screening)

: 제안된 정책, 프로그램, 프로젝트를 위해 HIA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 짓는 단계이다.

2) 스코핑(scoping)

: 건강영향평가의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범위를 설정하고 평가단이 평가를 수행해야 할 업무를 과업지시서(terms of reference)의

형태로 작성하는 단계이다.

3) 확인(identification)

: 건강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들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4) 평가(appraisal)

: 정책 등 평가 대상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연결 고리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5) 권고사항을 포함한 보고서 작성(reporting with recommendations)

: 평가한 내용을 의사결정자들이 정책 등에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 보고서 작성하여 전달하는 단계이다.

6) 평가(evaluation) 및 추후조사(follow-up)

: 건강영향평가의 과정, 영향, 그리고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3-2. 건강결정요인

WHO에서 정의내린 건강의 의미는 '단순히 신체에 질병과 손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도 완전한 안녕상태(WELL-BEING)'를 말한다. 이런 겅강 상태의 수준은 환경, 소득, 고용, 교육, 대중교통체계, 주거 구조와 조건, 범죄, 지역사회의 사회적∙물리적 환경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이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건강결정요인이라고 한다.

건강과 건강결정요인의 개념

 

 

건강결정요인의 범주와 요소

4. 건강영향평가의 방법

4-1. 평가지표

반응형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돔현상(HEAT DOME EFFECT)  (0) 2023.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