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26

후쿠시마오염수, 오염수에 대한 안정성? 삼중수소(트리튬)에 대한 고찰

후쿠시마 오염수 안정성에 대한 일본 자국 내 설문 조사에 따르면일본자국민 중 79%는 신뢰하지 못한다고 한다. 실제로 후쿠시마원전의 ALPS 필터는 25개중 24개는 손상된 사례가 있으며 그중 C-14는 ALPS에 의해 걸러지지 않는다고 도쿄전력의 보고서에 적혀져 있습니다. 도쿄전력에서 관리하고 있는 삼중수소의 관리는 더 취약합니다. 베타선이 나오는 삼중수소의 측정은 베타선측정이 가능한 측정기로 측정이 가능한데 감마선만 검출되는 선량계로 측정을 하니 삼중수소의 농도가 낮게 나올수 밖에 없습니다. 일본정부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 결정 규탄 및 원전 오염수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대한민국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촉구 결의안에 따르면 '인체에 치명적인 삼중수소를 비롯하여 60여 종의 방사성 물질이 포함..

환경/방사능 2023.08.25

대기오염의 소개, 대기환경, 대기권, 대기환경기준, 대기질, 모니터링

1.대기환경 대기권의 분류 ① 환경권 대기(ambient air):지구표면의 모든 생물이 호흡하는 공기, 대류권 수 km 이내에 포함 공기 ② 배경대기(background air) : 오염원이 없어 매우 깨끗한 상태의 공기, 바다, 고산지역과 같은 곳의 공기 공기의 성분 ① 주성분 (major component) : 질소 (약 78%)와 산소 (21%) ②미량성분 (minor component) : 이산화탄소, 수증기, 아르곤 ③미량성분(trace component) : 일산화탄소, 메탄, 이산화황 등 Table 1. 건조공기의 주요성분과 농도 2. 대기오염 대기오염의 정의 ① 세계보건기구(WHO) 규정 대기중에인위적으로배출된오염물질의한가지또는그이상이존재하여, 오염물질의 양, 농도 및 지속시간이어떤지역의..

환경/대기오염 2023.07.26

멜트다운(핵용융)_nuclear meltdown 현상이란?

멜트다운현상이란? 핵 멜트다운은 인간뿐만 아니라 야생동물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백 마일 떨어진 환경으로 치명적인 방사선을 광범위하게 방출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최악의 시나리오입니다. 방사선은 보이지도, 냄새도, 맛도 볼 수 없고 노출되면 탈모, 피부 수포, 종양, 암 등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용량이 충분히 크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1952년 이래로 상업용, 군사용 및 실험용 원자로에서 다양한 심각도의 용융이 14번 있었습니다. 가장 재앙적인 3대 멜트다운은 1979년 스리마일 섬, 1986년 체르노빌, 2011년 후쿠시마 다이이치입니다. 자연 재해에서 흔히 일어나는 것처럼 핵 용융이 하나의 비극적인 사건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멜트다운의 영향은 방사선이 서서..

환경/방사능 2023.06.14

SS275/SS400/SPHC 차이점 제품 비교에 대한 서술

국내 철강자재를 국내 STEEL 관련 일을 하다보면 SS400 / SS275 / SPHC 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 한번쯤 접하게 된다. SS275&SS275로 발주를 내는 경우, SPHC로 납품을 받는 경우가 대다수로 봐도 된다. 찾아보면 철강제품 중 철판류 (1.6~9T)는 대부분 SPHC로 사용되는데, 이는 단가상의 문제와 생산업체 (현대제철, 포스코)에서 국내 수요가 없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SPHC제품을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KSD3503 표기가 2019년도 개정되어 SS400에서 SS275로 변경되었으며, 품질규정이 강화 되었으나 결론적으로는 SS400과 SS275는 같은 제품으로 봐도 무방하다. SPHC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단 기존 글 링크를 남겨두었습니다. https://carpe312..

환경/철강 2023.06.12

후쿠시마원전에대한 질의응답(국제원자력기구:IAEA)

1.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NPS)에 저장된 물은 어디에서 옵니까? 2011년 3월 사고 이후, 후쿠시마 다이이치 원자력 발전소에서 녹은 연료와 연료 잔해를 지속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물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퍼 올린 물 외에도 주변 환경에서 지하수가 현장으로 스며들고, 파손된 원자로와 터빈 건물에 빗물이 떨어집니다. 물이 녹은 연료, 연료 파편 및 기타 방사성 물질과 접촉하면 오염됩니다. 그런 다음 오염된 물은 ALPS(Advanced Liquid Processing System)라는 여과 프로세스를 통해 처리되어 저장되기 전에 대부분의 방사능을 제거합니다. 2. ALPS(Advanced Liquid Processing System)란 무엇입니까? 알프스(ALPS)는 일련의 화학 반응을 사용하여..

환경/방사능 2023.05.26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기후변화란 무엇인가? ‘기후변화’란 적어도 20~30년 이상의 기간 동안 수백 km 이상의 지구적 규모에서 지속적으로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는 기온, 강수량, 바람 등의 기상학적 변화를 말한다. 여러 빙하기와 간빙기의 과거 기록들 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기후의 변화는 지구의 역사동안 꾸준히 반복해서 발생한 현상이기 때문에 현재 일 어나는 기후변화가 자연스러운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100년간 전 지구적으로 나타나는 기 후변화, 특히 지구온난화의 경향은 결코 자연적인 요인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는데 대부분 의견을 같이 하며, 이를 반영하여 유엔기후변화협약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에서 기후변화라는 용어는 인위적인 기..

환경/대기오염 2023.04.23

푸른하늘과 가시거리

빛과 색깔의 정체는 무엇인가? 인간이 여러 가지 색깔을 볼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신비로운 자연현상 중 하나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 도 사람들은 빛과 색깔의 정체를 알기위해 노력하였고, 빛이 직진하고 반사하며 굴절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또한, 지구상에서 모든 빛과 색깔의 근원이 태양에서 나온다는 사실도 알고 있었다. 영국의 뉴턴 은 광학 발전에 커다란 공헌을 한 물리학자로서 태양과 같은 백색의 가시광선이 유리 프리즘을 통과할 때 수많은 색으로 나뉘는 현상을 발견하고,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색으로 구분하였다. 모 든 색이 다시 합쳐지면 다시 백색이 된다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당시 뉴턴은 음악의 7음계인 도레미파솔 라시도를 모방하여 색깔을 7가지로 나누고, 파랑, 초록, 빨강의..

환경/대기오염 2023.04.22

스모그

스모그란 무엇인가? 스모그(Smog)란 연기 (Smoke)와 안개 (Fog)의 합성어이다. 스모그는 주로 도심지역에 황갈색 연무를 생성하는 가스상 및 입자상 물질의 화학적 혼합체이다. 스모그를 일으키는 물질은 지표면 오존, 질소산화 물, 휘발성유기화합물, 이산화황, 산성 에어로졸 및 가스, 미세먼지 등을 포함한다. 스모그에는 런던형 스모 그와 로스앤젤레스형 스모그(LA형 스모그)가 있다. 과거 산업화 시대에는 런던형 스모그가 주로 발생하였 지만 요즘은 대도시에서 LA형 스모그가 주로 발생한다. 고전적인 스모그인 런던형 스모그는 공장의 매연, 가정 난방, 석탄의 연소를 통해서 대기로 유입되는 매연, 아황산가스 등이 안개와 합쳐지면서 만들어진다. 반면 1950년대에 새로운 형태의 스모그인 광화학 스모그가 처..

환경/대기오염 2023.04.21

중금속 오염

중금속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비중이 4.0 이상인 금속원소들을 중금속이라 한다. 이러한 중금속 원소들에는 대표적인 Hg (수은), Pb (납), Cd (카드뮴)을 비롯해서 Cr (크롬), Cu (구리), Ni (니켈), Zn (아연), Mn (망간), Co (코발트), Sn (주석) 등이 있다. 이외에도 화학적으로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적 성질을 나타내는 준금속이지만 비교적 비 중이 큰 As (비소), Sb (안티몬) 등도 중금속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지각의 미량성분으로 함유량은 대부분 0.1% 미만이며, 이 중 구리, 아연, 니켈, 코발트 등은 생명체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원소이고, 납과 수은 등은 비필수원소이다. 그러나 이들 중금속들은 모두 허용기준 이상으로 체내에 흡수되면 인체에 위해성을 나타내..

환경/대기오염 2023.04.20

프레온 가스와 오존홀

좋은 오존과 나쁜 오존 여러분은 오존과 관련하여 가끔 혼란과 의문을 갖는다. 대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오존주의보 발령을 들을 때면 오존농도가 높다고 걱정하면서, 성층권에서 오존홀이 생긴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면 오존농도가 낮다고 걱정한다. 사실 이들 오존은 화학적으로 정확하게 같은 물질이지만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달리 취급받고 있 다. 간단히 말해, 지표면 오존이나 복사기에서 나오는 실내 오존은 인간에게 절대적으로 피해를 주는 인위 적 오염물질로서 지표면 오존은 광화학 스모그의 주요 구성성분이기도 하다. 하지만 성층권 오존은 태양에 서 지구로 들어오는 유해한 광선을 막아주는 고마운 물질이다. 오존층은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할까? 우선 고마운 오존이 들어 있는 오존층에 대해 알아보자. 인류가 지구 대기권 중에..

환경/대기오염 2023.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