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과 광화학 스모그 스모그라는 용어는 1905년 영국의 한 대기오염학회에서 도시의 오염된 연기(smoke)와 안개 (fog)의 합 성물을 설명하면서 처음 사용하였다. 그 당시 스모그 속의 연기는 석탄과 비누, 세제, 청정제, 종이, 유리, 염 료 등 소비재에 사용되는 화공약품의 연소 배출물 때문에 만들어졌다. 주로 검댕, 황산, 질산, 염산, 황화칼슘 및 황화수소 등이 공기 중에 배출되었는데, 이로 인해 초래된 공해를 런던형 스모그라고 부른다. 이 스모그 사건들은 19세기와 20세기에서 발생하여 많은 시민들을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한편, 햇볕이 쨍쨍한 미국 LA에서도 대기오염 현상이 20세기 초반부터 나타났다. 당시 LA에서는 공장 매연이 너무 두꺼워 시민들은 매연을 통해 일식현상을 맨눈으로도 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