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26

오존과 광화학 산화물

오존과 광화학 스모그 스모그라는 용어는 1905년 영국의 한 대기오염학회에서 도시의 오염된 연기(smoke)와 안개 (fog)의 합 성물을 설명하면서 처음 사용하였다. 그 당시 스모그 속의 연기는 석탄과 비누, 세제, 청정제, 종이, 유리, 염 료 등 소비재에 사용되는 화공약품의 연소 배출물 때문에 만들어졌다. 주로 검댕, 황산, 질산, 염산, 황화칼슘 및 황화수소 등이 공기 중에 배출되었는데, 이로 인해 초래된 공해를 런던형 스모그라고 부른다. 이 스모그 사건들은 19세기와 20세기에서 발생하여 많은 시민들을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한편, 햇볕이 쨍쨍한 미국 LA에서도 대기오염 현상이 20세기 초반부터 나타났다. 당시 LA에서는 공장 매연이 너무 두꺼워 시민들은 매연을 통해 일식현상을 맨눈으로도 볼 수..

환경/대기오염 2023.04.18

천연가스 대체 수송용 바이오가스의 연료화 개발 동향: 정제기술 리뷰

1. 개요 •GIA에서 바이오가스 비지니스분야의 Value Chain에서 가장 매력도높은 분야로 선정 •수송용 연료로서 바이오가스의 중요성 - 바이오매스로부터 나온 연료이므로 ‘탄소 중립적’이라는 장점이 있음 - 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등 유기성 폐기물의 환경적처리에 가장 효과적 - 대기오염방지에 기여(자동차연료로 이용할 경우 NOx, HC, CO, PM배출량 낮아짐) - 차량용 대체연료 중 경제성이 탁월 해설 : 바이오가스는 신재생에너지원 중 유일하게 가스연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GIA(Global Intelligence Alliance)의 보고서에 따르면 바이오가스 비지니스분야의 Value Chain에서 가장 매력도높은 분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가스를 수송용 연료로 생산..

환경/대기오염 2023.04.18

석면오염

석면의 참극 인류역사상 석면으로 인한 피해가 처음 보고된 때는 그리스와 로마시대에 석면채광 광부와 옷감을 다루 는 사람들 사이에 폐질환이 유행했던 경우이다. 또한 석면재해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시점은 20세 기 들어오면서 석면이 일반대중에 널리 보급될 때이다. 당시 피해는 캐나다와 남아프리카 석면 채광지에서 주로 일어났으며, 영국의 방적공장과 미국의 조선공장에서 석면을 다루는 직원과 그 가족들에게 집중적으로 일어났다. 1940년대 말 남아프리카에서는 노임이 싼 흑인 소년들에게 커다란 자루에 석면을 넣는 작업을 시켰는데 이들은 12살이 되기 전에 폐질환으로 대부분 사망하였다. 미국에서도 해군조선소에서 석면취급 인부들과 건축현장에서 석면가공을 하던 사람들이 폐암으로 사망 한 적이 있으며, 영국에서는 ..

환경/대기오염 2023.04.17

라돈오염

1985년 미국의 한 신문은 라돈 악몽에 시달리고 있는 한 가족의 이야기를 게재한 적이 있다. 펜실바니아 주의 한 마을에 거주하던 존스씨의 집에서 미국 환경청의 안전기준을 약 780배 초과하는 라돈이 검출되었 는데, 이 농도는 하루 150갑 이상의 담배를 피울 때와 같은 폐암 위해도였다고 한다. 이미 이웃집들은 주정 부의 권유로 이사를 가고 학교도 폐교된 상태였으며 이 지역 가구수 중 40%에 달하는 1,417가구가 안전 하지 못하다는 통고를 받았다. 이 동네는 이전에 과수원이었다. 주민들은 이곳에 집을 짓기 위해 오랜 기간 저축을 하였지만 이들은 모든 것을 잃었고 생활자체도 변하게 되었다. 존스씨는 어린 자녀를 바라보면서 라 돈의 공포에 몸서리를 쳐야 했다. 당시 라돈의 농도가 높은 가옥들은 이사 명령..

환경/대기오염 2023.04.17

분진

분진이란 무엇인가? 여러분이 숨쉬는 공기의 주성분은 질소와 산소이지만, 공기 속에는 아황산가스나 일산화탄소와 같은 가스 형태의 오염물질도 있고, 분진과 같은 입자 형태의 오염물질도 섞여 있다. 분진은 영어로는 에어로 졸(aerosol)이라고 한다. 흔히들 에어로졸이라고 하면, 스프레이통의 모기약과 같이 작은 크기의 액체 물 질만을 떠올리는데, 본래 분진 즉 에어로졸의 정의는 공기 중에 떠 있는 액체상 및 고체상의 작은 입자를 의미한다. (사진 출처: 동아대학교 최금찬) 위쪽: 화력 발전소에서 배출된 비산재 (fly ash) 아래쪽: 철강소 배출 먼지 여러분들이 들어 본 적이 있는 연무(mist), 먼지, 연기, 훈연(fume), 안개, 박무(haze), 스모그, 검댕 등은 분진의 한 종류이다. 이들 분진..

환경/대기오염 2023.04.16

산성비

산성비란 무엇인가? 여러분은 “요즘 내리는 비가 산성비이니까 맞지 말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산성비가 과연 우리에 게 해로울까? 이를 알기 위해서 먼저 산성비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보자. 산성비 (acid rain)란 평소보다 많은 산성 물질(질산 및 황산)을 함유하고 있는 비(눈, 안개 포함)를 일컫는다. 산성비의 정의는 pH가 5.6 이하인 비를 일컫는데, 산성도의 척도를 가리키는 pH는 물속의 수소이온농도의 역수에 상용로그를 취한 값이다(pH=-log10[H+]). 순수한 물의 pH는 7의 값을 가지며 산성을 띌수록 7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지구의 대기 중에는 이산화탄소 (CO2)가 많이 존재하는데 이 이산화탄소가 빗물에 녹으면 탄산 (H2CO3)을 형성하게 된다. 어떠한 오염물질도 존재하지..

환경/대기오염 2023.04.15

실내공기오염

다양한 실내 공간(다중이용시설: 주택, 학교, 사무실, 공공건물, 병원, 지하시설물, 교통수단 등)에서 공기가 오염된 상태를 말한다. 사람들이 오랜 시간 실내에서 생활할 때 건강상 영향을 받게 된다. 역사적으로 인간 은 바깥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었으나 문명이 발전할수록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늘어났다. 오늘날 대부분 사람은 하루에 20시간 이상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기 때문에 실내공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실외 대기오염보다 클 수 있다. 건물에서 사용되는 각종 건자재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비롯한 다양한 오염물질을 배출시키고, 최근 들 어서는 방음 밀폐효과 등 건축기술의 발달로 환기마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실내공기오염으로 인한 피 해가 늘어나고 있다. 2003년에는 강남구 역삼동 B아파..

환경/대기오염 2023.04.14

대기오염에 대한 이해

공기는 왜 중요한가? 인간의 생명 유지에 가장 필수적인 것은 ‘공기’이다. 우리는 사랑하는 가족과 한 동안 떨어져서도 살 수 있고, 물과 음식물은 며칠간 섭취하지 않아도 견딜 수 있으나, 공기호흡은 단 3분만 중단되어도 생명을 유지할 수 없다. 인간뿐만 아니라 지구상에 살고 있는 동, 식물은 한순간도 공기를 멀리할 수 없다.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도시 집중화로 인하여, 도시의 공기는 매연과 유해가스로 오염되고 있다. 대기오염 은 건강상 피해뿐 아니라, 공업, 농업과 임업 등 모든 산업에 경제적인 피해를 준다. 또한, 건축물, 철로, 전 선, 금속의 부식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종이, 고무, 가죽, 섬유 등을 노화시켜 재산상 피해를 줄 수 있다. 더욱 각종 대기오염물질로 인해 지구기후는 급속히 변화되고 ..

환경/대기오염 2023.04.14

SPHC(Steel Plate, Hot-rolled Coil)

SPHC는 Steel Plate, Hot-rolled Coil의 약자로, 일본에서 생산하는 열연강판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이는 일반 구조용 강판으로 널리 사용되며, 주로 자동차, 가전 제품, 건축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SPHC는 낮은 탄소강으로, 용접성이 뛰어나고 균질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열간압연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고강도이면서도 가공이 쉽고, 높은 가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SPHC 강판은 고온과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부식되기 쉽고, 기계적 강도나 내식성이 다른 고급강재와 비교하면 낮습니다. 따라서 SPHC는 일반적으로 경제적인 강판으로 사용되며,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낮은 탄소강이란? 낮은 탄소강은 탄소 함량이 ..

환경/철강 2023.04.07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대처 비교

체르노빌에서는 사건 직 후 수습작업을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비교적 일본에 비하면 적극적이였다는 것이다. 체르노빌의 사고 수습 핵연료와 바닷물이 섞이게 되면 수습범위가 걷잡을수 없게 된다는 것을 파악하여 소련에서는 28인의 결사대를 조직하였다. 모래와 콘크리트 5천톤으로 지하수와의 접촉을 막고 지붕을 씌우며 단시간만에 사고수습이 이루어 지게 되었다. 작업 이후 28인의 결사대 전원 3개월을 넘기지 못하고 모두 순직하였다. 2. 일본의 사고 수습 일본에서도 정황을 파악하여 결사대를 조직하였지만.. 사고현장 진입 중 높은 방사능 수치로 핵연료 봉인을 포기 하였다. 결국에는 방사성물질이 지하수와 섞이게 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세슘물질이 기준치의 2배가 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본에서는 처음부터 방사능 측정값과..

환경/방사능 2023.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