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실내 공간(다중이용시설: 주택, 학교, 사무실, 공공건물, 병원, 지하시설물, 교통수단 등)에서 공기가 오염된 상태를 말한다. 사람들이 오랜 시간 실내에서 생활할 때 건강상 영향을 받게 된다. 역사적으로 인간 은 바깥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었으나 문명이 발전할수록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늘어났다. 오늘날 대부분 사람은 하루에 20시간 이상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기 때문에 실내공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실외 대기오염보다 클 수 있다.
건물에서 사용되는 각종 건자재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비롯한 다양한 오염물질을 배출시키고, 최근 들 어서는 방음 밀폐효과 등 건축기술의 발달로 환기마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실내공기오염으로 인한 피 해가 늘어나고 있다.
2003년에는 강남구 역삼동 B아파트 모델하우스에서 도우미들이 새 건물에서 배출되 는 오염물질로 인해 현기증을 느끼다 결국 쓰러진 사건이 있었다. 또한 실내공기오염은 아토피 피부염, 알 레르기 비염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초등학생 400여만명 중 천식을 앓는 10% 내외도 실내 공기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실내공기오염은 ‘새집증후군 (Sick House Syndrome)’, ‘건물증 후군 (Sick Building Syndrome)’, 또는 ‘복합화학물질과민증 (MCS: Multiple Chemical Sensitivity)’을 야 기하기도 한다. 복합화학물질과민증은 상당히 많은 양의 화학물질에 접촉하거나 미량의 화학물질에 장기간 접촉한 후 다른 곳에서 매우 미량의 화학물질에 재접촉하였을 경우 만성적으로 심각한 육체적 및 정신적 반응을 나타내는 증상이다.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주요 발생원인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외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 공간 자체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을수 록 심하게 나타난다. 건축용 내장재, 인간의 활동, 각종 생활용품 등에서 다양한 오염물질들이 방출된다.
분진: 호흡기를 통해서 흡입된 분진은 기도 또는 기관지를 통해 폐포까지 흡입되어 각종 호흡성 질환과 진폐증을 일으킬 수 있다.
담배연기: 담배연기에는 수백 종의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흡연 시 발생하는 담배연기는 두통, 피로 감, 기관지염, 폐렴, 기관지 천식, 폐암 등을 유발시킨다.
연소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등): 요리와 난방을 위한 연료연소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급성피해로는 호흡중독, 시야감소, 기도저항증가 현상이 나타나고 만성피해로는 폐렴, 기관지염 등을 유 발시킨다.
포름알데하이드: 주로 일반주택 및 공공건물에 많이 사용되는 단열재와 섬유, 옷감, 건축물에서 발생하 며 접착제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눈, 코, 목의 자극증상, 기침, 설사, 어지러움, 구토, 피부질환, 정서적 불 안정, 기억력 상실, 정신집중의 곤란 등을 일으키며 동물실험 결과에서의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유기용제 | 인체에 미치는 영향 |
벤젠: benzene | 혈액에 대한 독성이 아주 강함 |
톨루엔: toluene | 간, 신장, 혈액, 신경 등에 대한 독성이 강함 |
크실렌: xylene | 간, 신장, 혈액에 대한 독성이 강함 |
에틸벤젠: ethylbenzene | 신경계에 대한 독성이 아주 강함 |
스틸렌: styrene | 신경계, 피부점막 등에 대한 독성이 아주 강함 |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s): 끓는점
이 낮아서 대기 중으로 쉽게 휘발 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 유기화합 물을 총칭해서 일컫는다. 대부분의 유기용제는 주로 페인트나 내장재 등에 포함되어 있으며 공기 중에 가스로 존재하며 피부에 직접 닿지 않더라도 호흡기로 흡입되면 중독 을 일으키게 된다. 적은 양을 조금 씩 오랜 시간 동안 반복하여 흡입 되면 만성 중독을 일으키게 된다.
라돈: 토양, 지하수에 포함되어 있 는 천연 방사성 물질로서 사람이 흡입하기 쉬운 가스상 오염물질이 다. 라돈은 폐암을 유발시킨다.
오존: 복사기, 프린터 등 고전압을 사용하는 기기에서 발생되며 노출 될 때 기침, 두통, 천식,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산화력이
강해 표백 및 살균 등에 이용되나 농도가 증가하면 위험할 수 있다.
석면: 내화성 단열성 건축자재, 가정용품 등에 사용되며, 피부질환, 호흡기질환, 석면폐증, 폐암 등을 유발 시킨다.
악취: 음식물 쓰레기, 불결한 정화조, 하수구 등에서 발생하며 식욕감퇴, 구토, 불면증, 알레르기 등을 유 발시킨다.
미생물: 불결한 가습기, 냉방장치, 냉장고, 애완동물, 방향제 등에서 발생하며 주로 실내에서 습도가 높을 때 미생물이 급성장한다. 레지오넬라, 곰팡이, 세균 등이 원인이며 피로감, 무력감, 구역질, 현기증 등 각 종 호흡성 질환을 유발한다.
우리나라의 실내공기질 유지기준과 권고기준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2003년 실내공기질 관리법을 제정하여 실내 공기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다중이용시설 | PM10 (g/m3) |
CO2 (ppm) |
HCHO (g/m3) |
총부유세균 (CFU/m3) |
CO (ppm) |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여객자동차터미널의 대합실, 철도역사의 대합실, 공항시설중 여객터미널, 항만시설중 대합실,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장례식장, 찜질방, 대규모점포 |
150 이하 |
1,000 이하 |
120 이하 |
- |
10 이하 |
의료기관, 보육시설, 노인의료시설, 산후조리원 | 100 이하 |
800 이하 |
|||
실내주차장 | 200 이하 |
- | 25 이하 |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다중이용시설 | NO2 (ppm) |
Rn (pCi/L) | VOC (g/m3) |
석면 (개/cc) |
오존 (ppm) |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여객자동차터미널의 대합실, 철도역사의 대합실, 공항시설중 여객터미널, 항만시설중 대합실,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장례식장, 찜질방, 대규모점포 |
0.05 이하 |
4.0 이하 |
500 이하 |
0.01 이하 |
0.06 이하 |
의료기관, 보육시설, 노인의료시설, 산후조리원 | 400 이하 |
||||
실내주차장 | 0.30 이하 |
1000 이하 |
0.08 이하 |
실내공기 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실내공기오염 발생원 제거
실내공기 오염물질별 발생원의 직접적인 사용을 피하거나 불가피하게 건축자재를 사용하는 경우 오염물 질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물질의 사용량을 줄이는 방법이 있다. 오염물질의 방출량을 줄이거나 발생 시점을 조절하여 줄일 수도 있다. 정기적인 청소와 세탁 등도 도움이 된다.
2) 환기에 의한 방법
건물의 출입구, 창문, 그리고 환기구 등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여 교체하고 순환시키는 것을 말한다. 기계식 강제 환기방법을 채택할 경우, 덕트(duct)나 환기구의 주기적인 청소나 집진장치의 점검, 필 터의 교체 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실내공기보다 실외공기가 더 오염된 경우, 환기방법을 이용할 때 주 의가 필요하다.
3) 천연자재의 사용
PVC벽지, 장판, 가구, 의복 등의 제품을 천연소재로 사용하여 실내공기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한 다.
4) 베이크 아웃 (Bake-Out)
신축건물에 입주 전에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켜 건축자재나 마감재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나 포름알데히드를 일시적으로 촉진시키고 환기를 통하여 제거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입주 전 높은 온도로 창 문을 닫고 난방하여 가구나 내장재 등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을 가두어 두었다가 창문을 다시 열고 환기시 키는 작업을 반복한다.
5) 식물에 의한 실내공기 정화
산세베리아, 벤자민 등의 식물을 키워서 식물만이 가지고 있는 호흡작용으로 잎을 통한 증산작용을 통하 여 오염된 공기를 흡수하여 정화시키는 방법이다. 실내에서의 식물재배는 공기 정화뿐만 아니라 습도 조절 및 심신의 안정 등에도 도움이 된다. 국립환경과학원의 실내환경정보센터에 의하면, 실내 공기 정화에 좋은 식물은 잎이 두껍거나 꽃이 없고 늘 푸른 상태로 있는 식물이 좋다. 그러나 실내 식물에 물을 너무 많이 주 어서 흙이 너무 젖으면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하여 알레르기 환자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 여야 한다.
6) 공기정화기에 의한 방법
환기설비에 여과장치를 설치하여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거나 실내공간에 별도의 공기청정기 를 설치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오존을 발생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한다는 오존발생 공기청 정기는 오존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방출되지는 않는지 꼼꼼히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건강 기준치 이내의 저 농도 오존이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대한 제거 효과가 있는지 의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