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대기오염

천연가스 대체 수송용 바이오가스의 연료화 개발 동향: 정제기술 리뷰

박하D 2023. 4. 18. 12:20

1. 개요

GIA에서 바이오가스 비지니스분야의 Value Chain에서 가장 매력도높은 분야로 선정

 

수송용 연료로서 바이오가스의 중요성

    - 바이오매스로부터 나온 연료이므로 탄소 중립적이라는 장점이 있음

    - 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등 유기성 폐기물의 환경적처리에 가장 효과적

    - 대기오염방지에 기여(자동차연료로 이용할 경우 NOx, HC, CO, PM배출량 낮아짐)

    - 차량용 대체연료 중 경제성이 탁월

 

해설 : 바이오가스는 신재생에너지원 중 유일하게 가스연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GIA(Global Intelligence Alliance)의 보고서에 따르면 바이오가스 비지니스분야의 Value Chain에서 가장 매력도높은 분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가스를 수송용 연료로 생산하기 위한 정제기술 및 국내외 차량연료화 동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2. 바이오가스 정제 및 고질화 기술

바이오가스의 성분인 CH4, CO2, NH3, H2, N2, CO등을 포함, 연료로서의 사용을 위하여 CO2, H2S 등 기타 불순물을 제거해야 함

해설 : 바이오가스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수소 질소 일산화탄소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바이오가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황화수소를 비롯한 기타 불순물을 제거해야 한다.

황화수소 및 실록산을 제거하는 것을 전처리 혹은 정제공정이라 하고 CO2를 분리하여 메탄농도를 +-96%까지 함량을 높이는 것을 고질화(Upgrading)라고 한다. 경우에 따라 두 공정을 합쳐 정제공정이라 통칭하며 최종 순수메탄을 바이오메탄이라 한다.

===========================================================================================

바이오 메탄 생산을 위한 정제공정과 고질화 공정

해설 : 바이오메탄 생산을 위한 정제공정과 고질화 공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록산은 저온일수록 제거율이 높기 때문에 효율적인 실록산 제거를 위해 흡착법과 심냉법을 조합하여 2단으로 구성을 하기도 한다.

===========================================================================================

2.1. 바이오가스 정제공정

해설 : 정제공정에서는 주로 황화수소와 실록산을 제거하는데 황화수소 제거 방법은 크게 건식탈황과 습식탈황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실록산이 바이오가스에 존재할 시 실린더, 밸브 등의 마모를 유발, 국내의 경우 10~30ppm정도이다. 20122월 제정된 도시가스 품질기준에는 10mg/m3으로 규정하고 있음

===========================================================================================

2.2. 바이오가스 고질화 기술

불순물 제거한 바이오가스는 CO2제거(Upgrading)를 통해서 CH4함량을 증가시켜 연료로 사용이 가능함

해설 : 워터스크러버흡수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흡수효율이 낮아지므로 흡수압력을 높이거나 냉각시스템이 필요하다. 비교적 연평균 기온이 낮은 스웨덴, 스위스, 독일, 오스트리아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

3. 바이오가스 수송용 연료화 해외 사례

전세계 바이오가스 정제플랜트 수는 220개이며 EU180여 개 설치 운용 중(대부분 도시가스에 배관망에 연계하거나 수송용 연료로 활용)
독일, 스웨덴,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많은 고질화 플랜트가 설치되어 운영 중

스웨덴(730GWh), 독일(180GWh)에서 수송용 연료로 가장 많이 활용

3.1. 스웨덴

바이오가스 플랜트 중 약 60%하수슬러지로 사용

1995Trollhattan 지역에 바이오가스 차량연료화를 위한 200Nm3/hr급 정제시설 도입(차량연료 80% , 도시가스 20%)

Orebro2000Nm3/hr급 시설은 Water Scrubber를 사용하고 있음(스웨덴의 약 70%)

연간 약 100Nm3바이오가스가 차량연료로 소비되며 총 109개의 바이오가스 충전소 설치

2020년까지 모든 차량에 화석연료 사용을 전면 금지하도록 규정

해설 : 스웨덴은 바이오가스 생산 및 사용을 성공적으로 보급한 국가중 하나로서---- 이 밖에 매립지가스, 가축분뇨, 농업부산물도 이용되고 있다.

트롤헤탄, 스웨덴 엘브스보리(Älvsborg) 주의 도시. 노말 루베, 큐빅메터, 입방미터

 

3.2.

2012년 기준 바이오가스 정제플랜트는 127개소이고, PSA, PWS, Amine Scrubber, Genosorb, Membrane 등 다양한 바이오가스 고질화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적화된 CMS를 표준화하여 판매, 최근 Amine 계열의 흡수액을 사용한 Chemical Scrubber법의 일종인 MEA법을 개발

3.2.

VolkswagensRaiffeisen Waren genossenschaft 함게 차량연료 충전소를 운영 중이며 바이오에 대한 자체브랜드인 Sungas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음

바이오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2015년까지 면세가 가능하며 바이오가스 20%에 천연가스 80%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세금을 면제 해주고 있음

2020년까지 60Nm3, 2030년까지 100Nm3 천연가스를 바이오가스로 대체하겠다는 목표

 

4. 바이오가스 수송용 연료화 국내 사례

서남하수처리장 차량연료화 사업(2010), 수도권매립지 차량연료화 사업(2011) 바이오가스 정제플랜트 사업을 추진, 법적으로 바이오가스 품질기준을 마련

4.1. 한라산업개발

600 Nm3/hr용량의 바이오가스 자동차 연료화 사업자로 사업자로 선정

정제 시설로서 Xebec(캐나다)R-PSA 기술을 도업(로터리밸브를 채택)

4.2. 에코에너지홀딩스

국내 최초로 하수슬러지에서 발생하는 소화가스를 연료(도시가스, CNG 버스)로 전환하는 바이오메탄 사업을진행, 바이오메탄 서울(에코에너지홀딩스 70%, SBI 15%, 서남환경 5%, Greenlane Biogas 10%)의 설립을 통해 2009년 상업운전을 개시, 하루 2940 m3바이오메탄을 생산

고질화 기술은 FlotechPWS(Pressurized water scrubber) 방식이 도입

4.3. 현대건설

VPSA(Vacuum Pressure Swing Adsorption) 방식의 20Nm3/h바이오가스 정제 파일럿 플랜트를 제작하여 음폐수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대상으로 2010년부터 운영을 시작

CO2 분리 공정으로 R-PSA 장치를 도입하였으나 바이오가스 정제 기술의 핵심을 외국기술에 의존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국산 PSA 장치의 필요성 대두, 2010년 국산 VPSA장치 및 흡착제 개발 분야의 연구를 수행, 국내 최초로 원주 하수종말처리장에 국산화된 250 Nm3/h바이오가스 정제 플랜트를 건설, 운용 중

5.맺음말

바이오가스 정제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

    - 수송용 연료로서 바이오메탄의 품질기준을 현실적으로 적용 할 필요

    - 바이오가스 정제사업에 대한 인허가 절차는 안전성 확보 및 원활한 사업진행을 위하여 체계적으로 구성

     - 사업 확대기에 있는 국내 바이오가스 정제산업에 민간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기 위하여 정부에서 바이오가스 이용에 대한 인센티브를 도입하여 협력, 감시자의 역할을 해야 함

반응형

'환경 > 대기오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온 가스와 오존홀  (0) 2023.04.19
오존과 광화학 산화물  (1) 2023.04.18
석면오염  (1) 2023.04.17
라돈오염  (1) 2023.04.17
분진  (3) 2023.04.16